용어정의
민주주의(DEMOCRACY), 民主主義
민주주의는 의사결정 시 시민권이 있는 대다수나 모두에게 열린 선거나 국민 정책투표를 이용하여 전체에 걸친 구성원의 의사를 반영하고 실현하는 사상이나 정치사회 체제이다. '국민이 주권을 행사하는 이념과 체제'라고도 일반으로 표현된다 (https://ko.wikipedia.org/wiki/%EB%AF%BC%EC%A3%BC%EC%A3%BC%EC%9D%98 "위키백과").
Demoskratia 고대 그리스어로 demos(민중) + kratia(권력)을 뜻한다. 최초의 민주주의는 이념체계가 아닌 아테네의 특수 정치체제이며, 헌법 제 1조 1항의 주권재민 고대 아테네로부터 시작된 민주주의의 기본정신을 보여준다.
민주주의 Democracy는 가치기준이 되는 이념으로서의 주의(主義 Ism)가 아니라 단지 하나의 정체(政體 Cracy)일 뿐이다.
집단지성
- 집단지성은 집단의 지성을 말하는 것으로 다양한 개인들의 참여에 의한 지식 및 정보공유를 바탕으로 형성되는 집단의 문제해결 능력이라 할 수 있다. 99
공론장
- 공론장은 개인이 평등 한 참여자로서 공공의 관심이나 이해에 관련된 공적 논의를 자율적으로 발현하는 장을 뜻한다 100.
다른 용어
이 용어의 뜻. 이것은 강조되어 표시된다.
99 윤호성, 이기동. (2011). 소셜네트워크를 이용한 집단지성 측정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9(2), 53-63.
100 장우영. (2012). 온라인 공론장과 정치참여. 한국정치연구, 21(1), p.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