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연구방법 및 범위

본 연구는 총 5장으로 구성되며, ‘타임라인형 인터페이스 모델', '위키형 인터페이스 모델', '게시판형 인터페이스 모델', '대화형 인터페이스 모델'의 비교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차이에 따라 집단지성의 어떠한 요소에 강점과 약점으로 작용하는지 분석하고, 집단지성이 보다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형이 무엇인지 연역적 방법을 통해 증명할 것이다. 실증분석을 위한 연구 절차는 [그림 1]의 연구 구성도를 통해 요약할 수 있다.

  • 제 1장, 서론에서는 연구 배경, 연구의 필요성, 연구 목적, 연구방법을 기술하였다.
  • 제 2장, 문헌연구는 정책과정과 디지털 민주주의의 이해를 기반으로 소셜 미디어의 유형 및 정의 집단지성의 발현되기 위한 조건들을 조사하였다.
  • 제 3장, 사례분석은 디지털 민주주의 플랫폼에서 시민주도 정책입안형에 해당되는 플랫폼을 대상으로 Democracy OS, Better Reykjavik, 국회톡톡, Loomio, Open Ministry를 분석 하였다.
  • 제 4장, 실증분석은 ‘타임라인형 인터페이스 모델', '위키형 인터페이스 모델', '게시판형 인터페이스 모델', '대화형 인터페이스 모델'을 통해서 제시된 주제를 토론하게 한 후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 분석을 하였다.
  • 제 5장, 결론으로 분석된 결과를 종합해 연구의 의의를 밝히며,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보안점 및 개선점을 제시하며 연구를 마무리 한다.

연구 구성도
그림 1. 연구 구성도

results matching ""

    No results match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