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조작적 정의
선행연구의 의사결정 플랫폼의 분류 기준은 단순형태, 기능, 용도에 따라 연구자의 다양한 관점으로 구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소셜미디어는 사용자의 니즈에 맞춰 다양하게 생성, 소멸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 적합한분류체계를 얻기 어려웠다. 따라서 2009년부터 2016년까지 [표 2]에 제시된 연구를 토대로 국내 연구자와 단체, 해외 단체들이 구분한 유형의 공통요소를 통해 [그림 7]의 과정을 거쳐 타임라인형(timeline interface), 게시판형(board interface), 대화형(chating interface), 위키형(wiki interface)으로 도출 할 수 있었다.
[표 3] 소셜 미디어 유형의 특징
유형 | 구분 |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 대표서비스 |
---|---|---|---|
타임라인형 | 시각적요소 기능적요소 상호작용요소 |
색상, 레이아웃 친구 맺기 기능, 구독기능 친구 맺기, 댓글, 좋아요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플러스 |
게시판형 | 시각적요소 기능적요소 상호작용요소 |
색상, 레이아웃 업로드 기능, 에디팅 기능 포스팅, 구독, 댓글 |
카페 |
메시지형 | 시각적요소 기능적요소 상호작용요소 |
색상, 레이아웃 1:1 대화, 그룹 대화 기능 친구 맺기 기능, 대화 기능 |
슬랙 행아웃 카카오톡 |
위키형 | 시각적요소 기능적요소 상호작용요소 |
색상, 레이아웃 공동편집 기능, 버전관리 기능 편집, 첨삭, 갱신, 토론 |
위키피디아 구글독스 깃허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