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 연구방법 및 대상
4.4.1 연구방법
4가지 독립변수로 채택 된 '타임라인형', '게시판형', '대화형', '위키형' 인터페이스 유형에서 1주일간 각각의 플랫폼에서 각각의 주제를 토론할 것이다. 토론이 끝나면 제공되는 설문지 작성을 통해 가설을 증명할 것이다.
4.4.2 대상
본 연구는 편의표집(convenience sample)을 사용한 준실험연구(quasi-experiment)로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예비실험은 '우주당' 멤버로 선정하였고, 예비실험 참여자는 10명 내외로 20~40대 남여로 구성되었다. 본 실험의 대상은 '정치하는 엄마들(https://storyfunding.daum.net/project/17135)'의 커뮤니티 그룹에서 20~40대 30여명을 모집해 실시할 예정이다.
예비실험에서 한 집단이 4가지 다른 주제로 4가지 플랫폼에서 토론하는 것과 4집단이 같은 주제로 플랫폼에서 토론하는 것을 해본 후 본실험 설계를 해야할 것 같다.
4.4.3 실험설계
가. 주제 선정
주제는 주제의 관심도나 친숙도 민감성에대한 사전 설문을 통해 진행할 것이다. 주제 선정의 방향성은 찬성과 반대가 극명하게 대립해 수렴되기 힘든 것은 지양하고, 새로운 대안이나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을 주제들로 선정할 것이다. 예비실험에 토론 될 주제는 우주당이 진행하고 있는 캠페인중에서 특별한 주제 선정을 위한 설문 없이 진행될 것이다.
본실험 주제 선정을 위한 사전 설문
- 자사고 폐지
- 사립유치원
- 특수학교
- 기간제교사의 정규직화
- 페미니스트 교사
- 해외입양
- 맘충, 노키즈존
- 칼퇴근법
- 보육추경
- 경력단절녀
- 아이들이 놀 권리
주제 선별용 질문
- 제공된 주제에 대해서 가장 관심도가 높은 이슈를 5가지 체크.
- 제공된 주제에 대해서 가장 잘 알고있는 이슈는 무엇인지 5가지 체크.
- 제공된 주제에 대해 잘 알고 있지는 못하지만 토론해보고 싶은 주제를 5가지 체크.
[표 10] 실험용 플랫폼 선정
타임라인형 | 게시판형 | 대화형 | 위키 |
---|---|---|---|
빠띠 | 네이버카페 | 카카오톡 | 나무위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