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소셜미디어의 이해

소셜미디어는 개인의 특정한 이슈에 대해 감정적으로 공감하는 사람들이 모이기 시작하면 그 의견이 기하급수적으로 확산되어 여론화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전파력과 파급력을 동력으로 오프라인 활동으로 이어지게 되는 계기가 된다. 이렇게 소셜 미디어는 개인의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촉발되게 하는 핵심 역할을 하게 된다. 이렇게 촉발된 공공의제는 집단지성의 공통의 경험을 통해서 대안을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해진다. 합리적 의사결정은 집단지성이 군중의 지혜로 진행 될 때 성공할 수 있다. 즉, 개인의 깨달음을 모두의 깨달음으로 연결시키는 것이 집단지성의 발현이라 하겠다. 리드비터(Leadbeater, 2008/2009)는 집단지성이 민주주의에 도움을 주고 있으며, 그 기반에는 웹기술이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2.3.1.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웹기술은 소셜미디어의 발전과 흐름을 함께 하고 있다. 따라서 웹에 기반한 소셜미디어와 집단지성의 이해를 바탕으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의사결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소셜미디어의 개념을 알기 위해서는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eb, 이하 웹)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소셜미디어는 웹기술 기반에서 작동하는 플랫폼이기 때문이다. 웹은 정보화 시대의 핵심이 되는 도구로써 수십억 명이 네트워크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게 한다. 영국의 과학자 팀 버너스리(Tim Berners-Lee)에 의해 발명되었고, 1991년 8월 대중에게 배포 되었다. 그가 말하는 웹의 본질은 ‘연결성'이며 ‘정보의 공개와 공유를 통한 인간의 행복'이 웹의 철학이라 말한다. 웹 페이지는 하이퍼 텍스트 마크 업 언어(HTML)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하이퍼 링크(hyperlinks)를 통해 페이지를 탐색하거나 수많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로 접근(access)이 가능하다. 이 하이퍼 링크가 연결성을 실현해주는 핵심 아이디어라 볼 수 있다. 이 핵심 아이디어를 통해 [그림 4]와 같이 웹의 진화를 이루어 내어 네트워크 사회를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웹의 역사와 흐름
그림 4. 웹의 역사와 흐름

2.3.2. 소셜 미디어의 개념

소셜미디어란 용어는 가이드와이어 그룹(Guidewire Group) 그룹의 창업자인 크리스 치플리(Chris Shipley)가 미국 버클리 대학(UC Berkeley)의 하스(Haas) 경영대학원이 주최한 &Blog on 2004 Conference& 발표를 통해 향후 블로그, 위키, 소셜 네트워크와 테크놀로지가 결합해 &새로운 형태의 참여미디어&로서 소셜미디어의 등장을 예고하며 처음 사용되기 시작했다. 소셜미디어는 웹 2.0 기반 기술로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컴퓨터 등을 사용하여 개인이나 커뮤니티 및 조직이 생산한 컨텐츠를 공유, 공동 작성, 토론 및 수정할 수 있는 고도의 양방향 플랫폼이다. 소셜미디어의 특성은 임순범, 신윤주(2013)의 연구에서는 [그림 5]과 같이 참여(participation), 공개(openness), 대화(conversation), 커뮤니티(community), 연결(connectedness)등으로 제시하고 있다.

소셜미디어의 5가지 특징
그림 5. 소셜미디어의 5가지 특징

소셜미디어는 누구나 접근이 용이하게 공개되어 있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정보 전달의 신속성과 공유 주체의 일상성과 개별성을 가지며, 정보의 개방성과 네트워크 구축이 용이하다. 소셜 미디어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배포될 수 있도록 설계된 미디어이므로 사용자의 상호작용과 관계에 의해서 콘텐츠가 생성될 뿐만 아니라 확산된다.


그림 6. SNS로 인한 정보 경제 구조의 변화

따라서 [그림 6]과 같이 과거 컨텐츠 제공자(CP: content provider) 중심으로 생산·유통되는 구조에서 사용자 스스로 정보를 재생산하고, 자신의 관계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유통하고, 소비하는 구조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를 불러온 웹 2.0은 생산 기술적 관점에서 단순한 진화 과정이라 결론 내릴 수 있지만, 컨텐츠를 일방적으로 소비해야했던 전통미디어를 넘어서는 소통 방식의 변화는 사회적 관점에서 볼 때 진정한 혁명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미디어가 진정한 의미의 ‘사회성'을 획득한 것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는 소셜미디어를 활용함으로써 정보의 생산자가 될 수 있고, 생산한 정보를 전파할 수 있으며 그것이 시공간 제약 없이 전세계 누구와도 소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참여, 공유, 개방이라는 웹 2.0의 정신이 동시대 사람들에게 자연스럽게 체화되는 기반을 만들게 된다.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은 이제 더이상 가상의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현상이 아닌 실제 삶에 큰 영향력을 발휘하게 되는 시대가 되었다. 이러한 웹 2.0이 추구하는 가치는 민주주의 원리와도 일맥상통하는데, 즉, 정보화 사회의 특성을 가상의 공간에서 수평적 네트워크를 통해 민주주의를 경험할 수 있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표 2] Type of social media

기준 유형 연구자
용도 2009 - 커뮤니케이션 모델
- 협업 모델
- 콘텐츠공유 모델
- 엔터테인먼트 모델
최민재, 양슨찬
용도 2010 - 소셜 네트워킹(social networking)
- 소셜 협업(social collaboration)
- 소셜 퍼블리싱(social publishing)
- 소셜 피드백(social feedback)
가트너 그룹
용도 2010 - 커뮤니티(카페, 클럽)
- 미니홈피
- 블로그
- 프로필기반 서비스(소셜네트워킹, 블로그)
한국인터넷진흥원
용도 2011 - 소셜네트워킹
- 소셜콘텐츠
- 소셜어텐션
- 소셜협업
권혁진
기능 2016 - 프로필 기반
- 비즈니스 기반
- 블로그 기반
- 버티컬 기반
- 협업 기반
- 커뮤니케이션 중심
- 관심주제 기반
- 위치 기반
- 마이크로 블로그
김태원
용도 2016 - Networking
- Publishing
- Sharing
- Messaging
- Discussing
- Collaborating
fredcavazza.net


그림 7. 소셜미디어의 유형

2.3.3 도출된 소셜미디어의 유형

2.3.3.1. 타임라인형(Timeline interface)

타임라인 유형
그림 14. 타임라인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타임라인형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로 사회적 관계를 맺기 위해 사용되는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와 같은 플랫폼이다. 자신의 메인 스트림에 관계를 맺고 있는 친구들의 컨텐츠가 찾아오게 되며, 좋아요나 공유 혹은 덧글을 붙이는 행위가 일어났을때 관계를 맺은 친구들에게 급속도로 퍼지게 되는 원리가 이 관계형 소셜미디어에서 작동하게 된다. 시각적 요소로 타임라인 인터페이스(timeline interface)가 사용되고 있으며, 친구, 지인, 팔로워 등 개인간의 관계를 맺고 커뮤니케이션 하는 과정을 시스템에 축적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상호작용 요소로는 친구 맺기, 댓글, 좋아요 등이 있다.

2.3.3.2. 게시판형(Board interface)

게시판 유형
그림 15. 게시판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게시판형은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생산된 컨텐츠를 공유하는 것에 주된 목적이 있는 서비스이다. 글을 공유하기 위한 서비스로는 워드프레스와 블로그 등과 함께 포토 및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의 공유를 위한 플랫폼들은 유튜브나 핀터레스트와 같은 서비스들이 있다. 또한 팟캐스트나 페이스북의 실시간 방송 역시 이 유형에 해당 된다. 시각적 요소로 게시판형 인터페이스(board interface)로 나타나며 기능적 요소로는 미디어 파일을 올릴 수 있는 파일 업로드, 글을 편집 생산 할 수 있는 에디터의 기능이 잘 갖춰져 있다. 포스팅과 댓글을 통해 사용자들간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2.3.3.3. 대화형(Chating interface)

대화 유형
그림 16. 대화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화형은 구분된 소셜미디어 중 사용자들의 이용시간이 가장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유형이다. 가장 사용법이 쉬워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유저라면 필수적으로 이 유형을 사용하고 있을 것이다. 이 유형은 커뮤니케이션에 주된 목적이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왓츠앱, 행아웃, 카카오톡과 같이 메시지를 통한 대화형 플랫폼으로 채팅을 위한 서비스들이 이 유형에 속하게 된다. 시각적 요소로는 채팅 인터페이스(chating interface)의 특징이 보이며, 기능적 요소로는 1:1 대화나 그룹대화가 가능한 기능이 있다. 따라서 친구 추가나 대화를 통해서 서로 상호작용 할 수 있게 된다.

2.3.3.4. 위키형(Wiki interface)

위키 유형
그림 17. 위키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위키형은 공동편집이 가능한 협업 플랫폼을 의미한다. 구글 독스나, 깃허브 등 협업을 목적으로 서비스를 사용하게 된다. 협업을 하기 위해서는 버전관리 시스템이 필수적이며 사용자들은 이 유형의 소셜미디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문적 지식이 필요하기도 하다. 학습을 위한 시간이 다소 걸리는 유형으로 가장 고도화 된 소셜미디어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시각적 요소로 위키 인터페이스(wiki interface)의 특징을 나타내며, 공동편집 기능과 버전관리 시스템을 통해 협업을 가능하게하는 기능적 요소들이 있다. 따라서 편집, 첨삭, 갱신, 토론을 통해 상호작용이 가능한 특징을 지닌다.

results matching ""

    No results matching ""